GSLB(Global Server Load Balancing)는 전 세계적으로 분산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서비스의 가용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GSLB는 여러 개의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구성된 분산 시스템에서 트래픽 로드 밸런싱을 관리합니다. 이를 위해 지리적 위치, 네트워크 대역폭, 서버 성능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합니다. GSLB는 일반적으로 DNS(Domain Name System)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최적의 서버로 라우팅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GSLB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클라이언트가 특정 도메인에 접속하려고 시도하면, 클라이언트의 DNS 질의가 GSLB 시스템으로 전송됩니다.
2. GSLB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의 위치 정보, 서버의 가용성, 부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서버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라우팅합니다.
3. GSLB 시스템은 DNS 응답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적합한 서버의 IP 주소를 제공합니다.
4. 클라이언트는 해당 IP 주소를 사용하여 서버와의 연결을 시도하고, 그 이후 모든 통신은 직접 서버와 이루어집니다.
GSLB의 주요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트래픽 로드 밸런싱: GSLB는 여러 개의 서버 사이에 트래픽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2. 가용성 향상: 서버나 데이터 센터의 장애 시에도 GSLB는 가용한 서버로 트래픽을 재라우팅하여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합니다.
3. 지리적 로드 밸런싱: GSLB는 클라이언트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가까운 서버로 트래픽을 라우팅함으로써 응답 시간을 최소화합니다.
4. 유연성: GSLB는 서버 구성의 유연성을 제공하여 새로운 서버를 추가하거나 기존 서버를 제거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GSLB는 대규모 분산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웹 사이트,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서비스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됩니다. 이를 통해 전 세계적인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이고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
| DNS 서버 |
+------+-----+
|
| DNS Query
|
+------v------+
| GSLB 시스템 |
+------+------+ +-------------+
| | 웹 서버 A |
| +------+------+
| |
| | Load Balanced Traffic
| |
| +------+------+
| | 웹 서버 B |
| +------+------+
| |
| | Load Balanced Traffic
| |
| +------+------+
| | 웹 서버 C |
| +------+------+
| |
| | Load Balanced Traffic
| |
| +------+------+
| | 웹 서버 D |
| +------+------+
| |
| | Load Balanced Traffic
| |
+------v------+
| CDN |
+-------------+
```
위의 그림에서, 클라이언트는 DNS 서버에게 특정 도메인의 IP 주소를 요청합니다. DNS 서버는 이 요청을 GSLB 시스템으로 전달합니다. GSLB 시스템은 여러 개의 웹 서버 (A, B, C, D) 중에서 가장 적합한 서버로 요청을 라우팅합니다. 이때 GSLB 시스템은 여러 가용성 영역 또는 지리적 위치를 고려하여 서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서버로의 트래픽은 로드 밸런서를 통해 고르게 분산됩니다.
또한, 위의 예시에서는 CDN(Content Delivery Network)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CDN은 콘텐츠를 전 세계의 여러 지역에 배포하여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CDN은 GSLB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어 클라이언트에게 최적의 콘텐츠 서버를 제공하고, 트래픽을 로드 밸런싱하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이렇게 복잡한 구성의 GSLB는 대규모 서비스 및 글로벌 분산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다양한 서버와 지리적으로 분산된 데이터 센터를 고려하여 트래픽을 관리하고, 사용자들에게 최상의 성능과 가용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국내 은행이나 금융사들의 재해복구센터 활용방안에 일부 트래픽을 재해복구센터로 분산시켜 재해복구센터에서 서비스 함으로 재해 대비 뿐 아니라 Active-Active 센터로의 구성을 하기도 합니다.
'업무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디자인-전통적인 디자인부터 최근 트렌드까지#1 (0) | 2023.09.06 |
---|---|
UTP , STP Category 별 전송속도 (0) | 2023.09.04 |
mspp vs dwdm (0) | 2023.06.26 |
복제회선 대역폭 계산 프로그램 엑셀파일 (0) | 2023.06.23 |
DWDM이란? 스토리지 복제회선? (0) |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