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첫번쨰 포스트는 OSI 7 layer입니다.
전산전공이었다면 대학에서 꼭 배웠을 내용이죠, 하지만
의외로 많은 분이 잘 이해를 못하는것 같아 첫번째 포스트 주제로 정했습니다.
이정도만 숙지 하셔도 통신의 흐름과, 또 문제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듯합니다.
1 Layer - Physical Layer
물리적 계층이라고 합니다. 통신을 위한 전기적 신호와 케이블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장비의 예를 들변 단순히 전기적 신호를 재전송해주는 repeater같은것이 있겠습니다.
예전 Token ring 등을 쓸 때 중간에 리피터들을 사용했었죠...ring extenters 용도로,
ㅠㅜ 나는 어떻게 토큰링을 보고, 알고 있는지.... 노땅 같은 느낌이 드네요.
Layer2부터 ~Layer4 까지는 확실히 이해하고 가야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 언급되는 계층이니까요.
2 Layer - Data link
말그대로 시스템간 data 링크를 위한 계층입니다.
하드웨어 주소(MAC address)를 기반하여 통신이 가능합니다. (L2통신이라고 부르죠)
동일한 Broadcast domain 안에서 MAC주소를 learning 하여 통신할 수 있게 합니다.
동일 vlan이라고 하는 의미는 동일 broadcast domain의미와 같은 말입니다.
왜 broadcast 하는지는 하단에 L2스위치 동작에서 설명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집또는 소규모 사무실에서 쓰는 구성을 한번 그려보았습니다.
라우터 하단 부분의 인터페이스부터 각 PC까지가 Layer2=동일broadcat domain=동일vlan=동일 subnet mask입니다.
Layer에서는 자기 네트워크 안에서의 Mac을 배워 통신이 가능하며 이상의 Layer로는 넘어갈수가 없습니다.
넘어갈려고 하면 Layer 3이상의 장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L3layer 참고)
대표적인 장비로 Layer 2스위치가 있습니다.
L2스위치라는 말 많이 들어 보셨죠?
위의 그림 중간에 나오는 장비입니다.
L2 스위치는 최초에 통신을 시작할 때 동일한 broadcat도메인에 Broadcat, Flooding하여 살아있는 포트와 그포트에 연결된 Device의 Mac address 를 자신의 Memory에 기억합니다. CAM table이라고 합니다.(Contents Addressable Table)
MAC table이라고도 합니다. 이 테이블에 기록된 주소와 포트 정보를 가지고 Frame이 들어오면 보낼 프레임의 위치를 결정합니다. L2스위치는 이와 같은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만 통신이 가능하며 이상의 Layer를 가려고 한다면 PC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Gateway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PC의 Gateway는 라우터의 내부쪽 interface ip 입니다. 해당 인터페이스 까지 layer 2라고 쉽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 Gateway:동일 domain 이상을 갈때 무조건 보내는 출구,관문역할을 하는 장비입니다. 보통 L3장비가 그 역할을 합니다.
- 위 그림에서 192.168.0.100 장비가 192.168.0.102 장비로 통신을 할 때는 Gateway까지 가지 않고 Layer 2스위치에서 FWD합니다.(Layer 2통신)
쓰다 보니 말이 많아 집니다.
Layer 3는 다음 포스트에 쓸렵니다. .
귀찮아요
<
반응형
'업무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PP란 Multi 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0) | 2019.01.11 |
---|---|
무선랜표준 (0) | 2018.12.19 |
OSI 7Layer 5,6,7계층 (0) | 2018.12.19 |
OSI 7 layer중 Layer 4 전송계층, Transport layer (0) | 2018.12.17 |
OSI 7 Layer 중 Layer 3 네트워크 Layer (0) | 2018.12.17 |